사업화소개
사업회현황
텍스트
텍스트
텍스트
텍스트
텍스트
사업회현황
01.19 |
《3·8민주의거-2016년》 『3·8민주의거자료집Ⅱ』 출판기념회 및 신년하례식(오전11시 태화장) |
03.08 |
① 3·8민주의거 제57주년 기념헌화(10시, 둔지미공원) ② 3·8민주의거 제57주년 기념식(11시, 대전광역시청 대강당) ③ 기념탑 헌화(오후2시 대전고 교정) ④ 대전고 3·8기념식(오후3시 대전고 강당) 특강 : 김용재(3·8민주의거기념사업회 공동의장) 3·8민주의거의 역사적 의의 |
04.19 |
① 4·19혁명의 진원지 표지석 헌화(오전11시) ② 3·8 & 4·19 제57주년 기념 詩낭송회(오후4시 대전시청 하늘마당) |
05.20 |
대전고 개교 100주년 기념 – 3·8민주의거 재현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최우영 : 3·8민주의거, 당시의 상황 김용재 : 3·8민주의거기념사업회의 추진업무 홍석곤 : 3·8민주의거 결의문 작성의 배경 ※ 3·8주역인 대전고 40·41회 200여 명이 시민과 함께 해군군악대 앞세우고 대전고–공설운동장까지 구호 회치며 행진 |
09.08 |
학술대회 – 3·8민주의거 그 과제와 실천방안 오후4시,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– 이장우 의원 공동주관 기조강연 : 정구종 – 3·8민주의거와 시민혁명 계승의 과제 주제발표 : 민 찬 – 3·8민주의거 및 그 정신의 연원에 관한 고찰 주제발표 : 이 용 – 3·8민주의거, 전승으로서의 Storytelling 주제발표 : 이영조 – 3·8백일장에 나타난 학생들의 3·8의식 좌장 : 김웅락 토론 : 고만수, 고현덕, 이희경 |
11.10 |
제7회 3·8학생백일장(작품공모) 시상식 오후4시 대전문학관 |
12.01 |
3·8민주의거기념일의 국가기념일 지정촉구 결의안(의안번호 9768호 / 이명수의원 대표발의) 국회 통과 |
12.07 |
3·8푸른음악회(오후7시30분,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) 민주의 노래(김용재), 정의의 노래(김명아), 자유, 세상을 만든다(김인영), 함께 하는 세상(정미선) - 작곡 이종희 교수 이상 4곡 신곡 발표 등 민주, 정의, 자유 평화를 향한 열망이 음악이 되었다. 작곡·지휘–이종희, 소프라노-이연자, 엘렉톤–최유미, 테너–권오덕, 바리톤–최우영, 바리톤-김태선 |
12.28 |
3·8민주의거-2017년》(4×6배판 280면) 발행 |
03.08 |
① 3·8민주의거기념탑 헌화 ② 3·8민주의거 제58주년 기념식(오전11시 대전광역시청 대강당) ③ 3·8민주의거 기념비 헌화(오후2시 대전고 교정) |
04.14 |
대전3·8민주의거기념 제1회 민주시민 걷기대회(계족산 황톳길) 3·8민주의거,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결의 대회 |
04.17 |
제58주년 4·19혁명기념 4·19혁명 세계 4대 민주혁명 대행진 참가(서울시청 광장, 광화문 중앙광장) |
04.19 |
① 4·19혁명의 진원지 표지석 헌화(오전11시) ② 제58주년 3·8민주의거 4·19혁명기념 시낭송화(오후4시, 중구문화원) 3·8민주의거,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결의 대회 |
04.26 |
3·8민주의거,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범시민 추진위원회 발족식(대전시청) 총15개 단체 대표 공동위원장 추대 – 김용재 의장 상임대표 결의문 낭독. 50만인 서명운동 돌입 |
04.27 |
제15회한국창작음악 합창제 –3·8회원 초대 이종희 교수 공모 작곡가 선정(김용재 작사 –민주의 노래) |
03~11 |
3·8민주의거 국가기념일 지정 희망 사진전 1회 03.08(1일) 대전광역시청 3층로비 2회 05.11-20(10일) 대전문학관 2층로비 3회 05.21-30(10일) 대전광역시청 1층로비 4회 06.11(1일) 대전 Expo광장(대전지방보훈청-보훈문화제) 5회 06.22-29(8일) 지하철 대전시청역 6회 11.22(1일) 대전평생교육원 식장산홀 |
09.06 |
3·8푸른음악회(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) 작곡·지휘-이종희, 소프라노-이연자, 테너-이원용, 테너-강내우, 피아니스트-최유미, 바리톤-김태선 |
09.17~18 |
4·19혁명공로자회 경기지부, 대전지역 역사탐방 이재영(지부장), 유인학(4·19혁명공로자회 회장) 등 40명 참가. 대전 김용재 의장 등 5명 동행 안내. 우암사적공원 – 4·19혁명진원지표지석 – 대전고(3·8기념비, 애국지사 권용두 추모비, 역사박물관) - 3·8민주의거기념탑 – 화폐박물관- 뿌리공원 등 1박 2일 탐방 견학 |
11.02 |
3·8민주의거 기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공포(대통령령 29271호 / 관보제 19370호) |
11.15 |
제8회 3·8학생백일장(작품공모) 시상식(오후4시 대전문학관) |
11.22 |
3·8민주의거 국가기념일 지정 축하 행사 그 날 3월 8일(오후5시,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식장산홀) |
12.31 |
① 《3·8민주의거-2018년》 발행(4×6배판 248면) ② 《3·8민주의거 자료집Ⅲ》 발행(4×6배판 368면) (신문기사, 신문기획원고, 방송원고, 잡지화보, 기타) |
01.22 |
대전 서구 3·8민주의거기념탑(2006)이 세워진 둔지미공원이 대전서구지명위원회 – 대전광역시지명위원회를 거쳐 국가지명위원회의 결의로 <3·8의거둔지미공원>으로 변경 공표되었다. |
||||||||||||
02.23 |
《3·8민주의거-2018년》 출판기념회 및 신년회 정기총회 – 공동의장 김용재, 장선규, 대전세종충남4·19혁명회 회장 이기용, 3·8의거기념관건립추진위원장 인창원 |
||||||||||||
03.08 |
제59주년 3·8민주의거기념식(시청남문광장) 국가기념일 지정 후 최초 국가(보훈처) 주관 기념식 –시민, 학생 2000여 명 참가. 김용재 공동의장 영상인사. 이낙연 국무총리 기념사. 시청 둘레길 행진 – 3·8재현행사 <표어 – 정의로 만든 역사, 대전 3·8민주의거> |
||||||||||||
04.11 |
국가기념일 지정 공포 기념 심포지엄(한국현대시인협회 공동) 4·19혁명과 열린세계의 詩(여의도국회도서관 대강당) 제1부 의식행사 – 사회 : 전민, 이명순
제2부 심포지엄 좌장 이정희 기조강연 : 김용재 시는 혁명의 자양분이었다 주제발표 : 송백헌 4·19혁명과 시인의 함성, 그리고 그 이후 신규호 4·19혁명기념시와 역사적 증언의 힘 홍순갑 「꽃의 민주주의」와 「내 오라버니의 3월」에 드러난 저항의 시정신 지정토론 : 최재문, 김인영, 이주현 종합토론 : 지은경 |
||||||||||||
04.17 |
3·8민주의거기념사업회 – 제20회 4·19문화상 수상(한국프레스클럽) |
||||||||||||
04.19 |
① 4·19혁명의 진원지 표지석 헌화(10시, 대전) ② 4·19혁명 세계 4대 민주혁명 대행진(오후2시) 서울시청광장-광화문 중앙광장 |
||||||||||||
05.26 |
① 3·8 & 4·19 제59주년 기념 詩낭송회(오후4시, 계룡스파텔) ② 3·8민주의거 국가기념일지정기념 – 5년간 시낭송 시 모음 시집 『어둠을 깨운 새벽의 빛』 출간 |
||||||||||||
08.29 |
3·8민주의거일의 국가기념일 지정 공포기념 심포지엄(국가보훈처 공모 선정사업) 국가기념일, 3·8민주의거와 선각의 시민정신 오후4시 유성 계룡스파텔 10층 스카이라운지 제1부 의식행사
제2부 심포지엄 좌장 : 김영광 기조강연 : 김용재 3·8민주의거일의 국가기념일 지정의의와 과제 [주제발표] 이정희 민주화 선양의 선봉, 3·8민주의거 조성남 3·8민주의거의 역사적 함의 이영조 3·8민주의거 정신의 미래구현 지정토론 : 정우택, 이주현, 이내관 종합토론 : 최재문 |
||||||||||||
09.26 |
3·8민주의거기념사업회 – 2019한빛대상 특별상 수상 대전 mbc 공개홀(대전mbc / 한화 주관) |
||||||||||||
10.17 |
3·8푸른음악회(오후7시30분 /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) 작곡·지휘-이종희, 소프라노-이연자, 테너-김재민, 테너-오영민, 바리톤-김태선, 피아니스트-이진옥,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합창단 |
||||||||||||
11.18 |
독립운동 & 민주운동 단체 기획전시 희망이 거니는 숲 – 전시회 참가 오후2시 청와대 사랑채 개막식(김용재, 인창원, 최재문) |
||||||||||||
12.30 |
3·8민주의거 아카이브① 그 날의 공포와 분노 – 24인의 3·8증언록 ① 『3·8민주의거는 끝나지 않았다』(대형판 551p) 발행 ② 영상자료집 CD제작 [증언자] 김영광, 박제구, 이정치, 인창원, 최우영, 최정일, 홍석곤, 권오덕, 김용재, 송병준, 이창일, 정구종, 한창완, 조남호, 김상섭, 김종인, 이원옥, 전희남, 채재선, 송찬영, 이기용, 이상훈, 이영자, 이정희 |
||||||||||||
12.31 |
《3·8민주의거-2019년》(4×6배판 320면) 발행 |